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젠더와 정치참여 격차: 디지털 미디어의 동원 효과를 중심으로The Gender Gap in Political Participation: Exploring the Mobilizing Effects of Digital Media

Other Titles
The Gender Gap in Political Participation: Exploring the Mobilizing Effects of Digital Media
Authors
민영
Issue Date
2019
Publisher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Keywords
젠더; 정치참여; 젠더 격차; 자발적 시민참여모형; 디지털 미디어; Gender; Political Participation; Gender Gap; Civic Voluntarism Model; Digital Media
Citation
아시아여성연구, v.58, no.2, pp.39 - 75
Indexed
KCI
Journal Title
아시아여성연구
Volume
58
Number
2
Start Page
39
End Page
75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0105
DOI
10.14431/jaw.2019.08.58.2.39
ISSN
1225-9241
Abstract
이 연구는 자발적 시민참여 모형을 토대로 시민의 정치참여 수준에서 나타나는 젠더 격차를 다면적으로 탐색했다. 특히 매개된 동원효과에 주목하여,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정치 정보에 용이하게 접근하고 정치적 의견 표현과 교류의 공간이 확장된 것이 여성의 정치참여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2017년 대통령 선거일을 전후로 두 회에 걸쳐 전국 규모의 온라인 조사(N = 769)를 실시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자원, 정치적 관여도, 동원연결망 등 주요 정치참여 요인들에서 젠더 간 유의미한 격차와 불균등성이 관찰됐다. 평균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낮은 교육 수준과 정치적 관여도를 나타냈으며 정치적 메시지를 접하는 동원 기회도 적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과 온라인 연결망 내 정치대화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격차가 미미했다. 둘째, 정치활동 유형별 양적인 참여 의사에서는 젠더 격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자원, 정치적 관여도, 동원연결망 등 주요 참여 요인들의 수준이 동일할 때, 여성의 정치참여 의사는 모든 활동 유형에서 남성을 앞섰다. 셋째, 참여 요인이 행동으로 전환되는 경로에서도 부분적인 젠더 격차가 관찰됐다. 전반적으로 여성의 정치참여에는 남성에 비해 내적 정치효능감이 더 중요하게 작동하며 전통적 미디어 이용보다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정보 접근과 정치적 의견 교류가 기여할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특히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치 뉴스 이용은 상대적으로 가시성이 높은 정치활동에 대한 여성의 참여의사를 진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in, Young photo

Min, Young
미디어학부 (미디어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