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漢詩 分門纂類의 전통과 조선 전기 <風騷軌範>The Tradition of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分門纂類)’ and “Pungsogwebum (風騷軌範)”of the early Joseon Dynasty

Other Titles
The Tradition of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分門纂類)’ and “Pungsogwebum (風騷軌範)”of the early Joseon Dynasty
Authors
임준철
Issue Date
2019
Publisher
근역한문학회
Keywords
< 風騷軌範> 分門纂類; 類書; 분류방법; 조선 전기; 宋詩風; 독자성; “Pungsogwebum(風騷軌範)”; categorization(分門纂類); leishu(類書); the classification method; the early Joseon; the Song dynasty' s poetic style; uniqueness
Cita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54, pp.97 - 141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ume
54
Start Page
97
End Page
141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0672
DOI
10.17260/jklc.2019.54..97
ISSN
1225-1313
Abstract
이 글은 한국 한시의 분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한시 ‘分門纂類’의 전통 속에서 <風騷軌範>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풍소궤범』은 학습자가 古詩의 詩體와 제재/주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돕기 위해 편찬되었다. 『풍소궤범』은 前集에서 詩體別로 23體 6格으로, 後集에서 類別로 21類 57賦로 분류하였다. 이 글의 초점은 제재/주제별 분류의 연원과 특징에 맞추어져 있다. <풍소궤범>의 제재/주제별 분류방식은 類書 및 한시와 시화에 대한 分門纂類書와 관련이 있다. 특히 송대 이후의 한시 分門纂類書의 분류방식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풍소궤범』은 분문찬류서와 유서의 분류방식을 종합하고 부연 혹은 심화시킨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례적으로 시체별과 제재/주제별 분류를 각각 병행했을 뿐 아니라, 기존 분류를 좀 더 엄밀하게 구조화하여 대분류와 소분류를 새롭게 설정하거나 조정하였다. 시체별 분류에서는 <元詩體要>를 참조하면서도 수사기법을 고려한 하위 格을 설정하여 보완했으며, 제재/주제별 분류에서는 송대 이후 분문찬류서를 주로 참조하면서도 제재/주제가 겹쳐지거나 모호한 항목들을 통합한 뒤 하위분류(賦)을 두어 범주와 위계를 분명히 하였다. 동아시아 전통 분류의 계보 속에서 볼 때 類書式의 분류와 한시 分門纂類書式의 분류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풍소궤범>은 기존 분류항목을 의도적으로 제외하거나 類를 새롭게 설정하기도 했다. 심지어 기존 분류 명목을 가져다 쓴 경우에도 독자적 분류 인식을 적용하여 기존 분문찬류서와 다른 選詩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類의 배열순서도 조정하여 類間의 有機的·連環的 관계도 새로운 방식으로 설정하고자 했다. <풍소궤범>이 기존 분류체계를 답습하지 않고 새로운 모색을 하였음이 잘 드러난다. 조선 지식인에 의한 독자적 한시 분류라는 점에서 앞선 시기 安平大君이 편찬한 <匪懈堂選半山精華>와 함께 거론될 만하다. 다만, 選詩 대상과 분류방식에 있어서 좀 더 포괄적이고 진전된 면모를 보여준다. 한편, <풍소궤범>이 보여주는 제재/주제 분류의 특성은 편찬자의 選詩觀과 당대의 문학경향을 설명하는 데도 일정 부분 활용될 수 있다. <풍소궤범>에는 상대적으로 天·地 보다는 人이, 物보다는 人事에 관련된 類別 분류항목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송대 분문찬류서의 분류방식이 송대 문학의 제재/주제 경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에 비추어 볼 때, 상대적으로 宋詩的 특성과 가까운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송대 이후 분문찬류서의 분류항목에 있지만, <풍소궤범>에서 공통적으로 제외한 邊塞와 宮詞 항목 등은 후일 조선 중기 문인들이 學唐의 기치를 걸고 새로운 노래(新聲)로서 邊塞와 宮詞類 작품을 창작했던 것과 대비된다. <풍소궤범>의 편찬자들은 이런 주제/제재 유형이 중요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작품들로 인식했던 듯하다. 한시 분문찬류가 갖는 일정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풍소궤범>이 보여주는 분류방식의 특성은 향후 한국 한시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류에 활용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im, Jun Chul photo

Lim, Jun Chul
문과대학 (한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