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제왕학(帝王學) 교본 편찬의 역사적 고찰 - 「정관정요」와 「대학연의」를 중심으로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Publication of Je - wang - hak(帝王學) Textbooks:Case Studies on Jung - kwan - jung - yo(貞觀政要) and Dae - hak - yun - eui(大學衍義)

Other Titles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Publication of Je - wang - hak(帝王學) Textbooks:Case Studies on Jung - kwan - jung - yo(貞觀政要) and Dae - hak - yun - eui(大學衍義)
Authors
구순옥신창호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교육사학회
Keywords
Je-wang-hak(帝王學); Je-wang-hak textbook; Kyung-yeon(經筵); Jung-kwan-jung-yo(貞觀政要); Dae-hak-yun-eui(大學衍義); philosophy of leader; 제왕학; 제왕학 교본; 경연; 정관정요; 대학연의; 지도자 철학
Citation
한국교육사학, v.38, no.3, pp.1 - 24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교육사학
Volume
38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24
URI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0460
DOI
10.15704/kjhe.38.3.201609.1
ISSN
1225-1461
Abstract
본고는 고대 중국과 한국의 고려․조선에서 시행된 제왕(帝王) 교육과 그에 사용된 제왕학 교본의 편찬 의의를 역사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동아시아 유교 전통 사회에서 제왕 교육으로 시행된 경연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교육 활동이다. 제왕이 직접 참여하는 경연에서의 강의와 강론에는 교본이 필요하였고, 교본 편찬은 제왕의 지대한 관심 속에서 진행되었다. 제왕학의 교본으로는 「정관정요」와 「대학연의」가 많이 활용되었다. 「정관정요」와 「대학연의」는 고려 때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여러 제왕들이 자신의 수양은 물론 국정 전반에 걸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특히, 성리학이 확립된 후 저술된 「대학연의」는 조선에서 끊임없는 수정 보완을 거치며 제왕학 교본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고, 고종 때는 「국조대학연의」라는 순수 조선판 제왕학 교본을 편찬하기에 이르렀다. 제왕학은 현대적 의미에서 국가 최고지도자의 학문에 해당하고, 최고지도자 교육을 위해 제왕학 교본을 편찬한 것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국가 지도자가 정치철학을 확립할 때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점과 지도자 철학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려는 지속적 학문 연구가 중요하다는 점, 그리고 지도자 철학은 궁극적으로 자국의 상황에 부합해야 한다는 점을 지시해 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Chang Ho photo

Shin, Chang Ho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