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성취기준에 따라 개발된 과학 교과서 시범 단원의 분석Analysis of the Demonstration Unit of Science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Core Achievement Standards
- Other Titles
- Analysis of the Demonstration Unit of Science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Core Achievement Standards
- Authors
- 임유나; 조은영; 홍후조
- Issue Date
- 2015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textbooks that do not require supplementary materials (textbook completion learning); core achievement standard-based textbooks; reflec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subject; textbooks available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science textbooks; future-oriented textbooks; textbook policy;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교과서 완결형 학습); 핵심 성취기준 중심의 교과서; 과학과 특성 반영; 자기주도학습 가능 교과서; 과학 교과서; 미래형 교과서; 교과서 정책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5, no.6, pp.389 - 41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15
- Number
- 6
- Start Page
- 389
- End Page
- 412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087
- ISSN
- 1598-2106
- Abstract
- 본 연구는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한 과학과 ‘핵심 성취기준 중심의 교과서’ 시범 단원을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한 것이다. 분석 결과, 시범 단원은 기존 교과서에 비해 더 많은 참고자료나 연습문제를 담고 있지 않았고, 정책 연구를 통해 설정한 자기주도적 학습 요소를 형식적으로는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따라하기 매뉴얼식의 탐구활동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의미 있는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과서는 아니었다. 또한 핵심 성취기준 외에 일반적인 성취기준까지도 포함하여 사실상 내용 감축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었다. 시범 단원은 현 교과서 정책들의 의도가 잘 반영된 교과서라고 판단하기 어려웠고, 더 중요하게는 과학과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방향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 미래지향적인 탐구형 과학 교과서로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교과서 정책이 모든 교과, 모든 학년(군)에 적합하다고 할 수는 없다. 미래형 교과서 개발 논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민되어야 할 것은 각 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의 목적과 특성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학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아닌 학생이 중심이 되는 탐구학습을 강조하고, 프로젝트 학습, 협동학습, 토의・토론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을 중심에 세워야 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