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 지지체계와 문화정체성의 조절효과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and cultur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s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subjective well-being
- Other Titles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and cultur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s of reverse culture shock, and subjective well-being
- Authors
- 이승민; 양은주
- Issue Date
- 2015
- Publisher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 Keywords
- reverse culture shock; cultural identity; social support; subjective well-being; 재문화충격; 문화정체성; 사회적 지지; 주관적 안녕감
- Citation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21, no.1, pp.45 - 6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Volume
- 21
- Number
- 1
- Start Page
- 45
- End Page
- 66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5651
- ISSN
- 1229-0661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해외유학경험 후 귀국한 성인들의 재문화충격 경험과 주관적 안녕감을 알아보고, 지지체계(가족지지, 모국친구지지, 외국친구지지)와 문화정체성(모국정체성, 외국정체성)이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19세 이전에 한국을 떠나 해외에서 3년 이상 거주를 하고 한국으로 되돌아온 157명의 귀국성인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재문화충격과 각각의 조절변인에 대해 이원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강도는 가족지지가 높을 때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문화충격, 사회적 지지 중 한 요인, 문화정체성 중 한 요인을 대상으로 삼원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재문화충격, 가족지지, 모국정체성의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특히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강도는 가족지지와 문화정체성 중 한가지만 낮을 때 보다 모두 다 낮을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귀국성인들의 재문화충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가 조절가능하며 재문화적응과정에서의 가족지지(환경적 요인)와 모국정체성(개인내적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