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불안이 사회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의 이중매개효과검증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xiety and Social Capital: Double-Mediating Effects of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 Other Titles
-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xiety and Social Capital: Double-Mediating Effects of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 Authors
- 구훈정; 권정혜; 양은주
- Issue Date
- 2014
- Publisher
-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 Keywords
- 사회불안; 자기 불일치; 온라인; 오프라인; 사회자본; Social anxiety;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Communication Competence; Social Capital
- Citation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v.11, no.2, pp.377 - 40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Volume
- 11
- Number
- 2
- Start Page
- 377
- End Page
- 402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99818
- DOI
- 10.16983/kjsp.2014.11.2.377
- ISSN
- 1738-463X
- Abstract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이 사회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이 사회불안과 사회자본형성에의 이중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하였다. 서울과 지방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16명(남학생 147명, 여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고 총 3차에 걸쳐 사회불안척도, 자기불일치척도, 의사소통유능감척도, 사회자본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 모형과 대안 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 검증한 결과, 연구 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되었다. 연구 모형에 기반하여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불안은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를 부분매개로 하여 의사소통유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는 의사소통유능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사회불안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유능감을 이중으로 부분매개하여 사회자본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불안 청소년의 온라인 사회공간 활용방안에 대한 교육적 지침에 대한 제언과 더불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School of Psychology > School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