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교육과정과 상이교육과정의 구분 근거에 관한 시론A speculative study on the bases for the division between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 Other Titles
- A speculative study on the bases for the division between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 Authors
- 김대영; 홍후조
- Issue Date
- 2013
- Publisher
- 한국교육과정학회
- Keywords
- 공통교육과정; 상이교육과정; 교과; 학습자; 사회; 구분 근거; common curriculum; differentiated curriculum; subject matter; learner; society; grounds of classification
- Citation
- 교육과정연구, v.31, no.2, pp.77 - 9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교육과정연구
- Volume
- 31
- Number
- 2
- Start Page
- 77
- End Page
- 99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04828
- DOI
- 10.15708/kscs.31.2.201306.004
- ISSN
- 1229-3202
- Abstract
- 교수자와 학습자가 만났을 때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를 결정하는 일과 관련된 교육과정 논의의 첫 출발점은 모든 학습자들에게 같게 가르치는 것과 각 집단에 따라 다르게 가르치는 것을 구분․조정해주는 것이다. 이를 제대로 구분해주면 적정학습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불필요한 과잉학습과 꼭 필요함에도 과소 학습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굳이 구분해보자면 어떻게 그 특성이 차이날 수 있는지, 그 구분하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지를 탐구해본 것이다. 본 연구는 그 구분의 근거를 교육학적․교육 실제적 측면에서 천착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결정의 원천인 (1) 교과(학문), (2) 학습자, (3) 사회 측면의 핵심 요소들을 점검함으로써 공통교육과정과 상이교육과정의 구분 근거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핵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초중학교의 의무 ․ 기초 ․ 공통 교육기의 교육과정과 이를 넘어선 심화․전문․특수 분야의 교육이 시작되는 고교 교육기의 교육과정을 일정하게 구분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따르면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중학교의 것을 반복 · 확대 · 심화할 뿐이라는 비판을 극복할 발판을 만들 수 있을 것이 다. 이런 연구는 의무교육기와 이를 넘어선 학교교육의 기능과 목적, 교육과정적 특성 등을 더욱 분명히 하여, 전자는 기초 ․ 기본 ․ 공통 교육을 후자는 진로별로 알맞은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