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The Effect of Color Incongruity on Brand Attitude: Moderating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Color Incongruity on Brand Attitude: Moderating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 Authors
- 이상은; 김상용
- Issue Date
- 2010
- Publisher
- 한국마케팅학회
- Keywords
- color incongruity; incongruity-salience; schema theory; mismatch; brand attitude; self-image congruence; 컬러; 불일치; 브랜드 태도; 소비자 자아일치성; color incongruity; incongruity-salience; schema theory; mismatch; brand attitude; self-image congruence
- Citation
- 아시아마케팅저널, v.11, no.4, pp.69 - 9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아시아마케팅저널
- Volume
- 11
- Number
- 4
- Start Page
- 69
- End Page
- 93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17574
- ISSN
- 1598-7868
- Abstract
- 본 연구는 통합적 브랜드 관리에 있어 매체 간 컬러의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소비자 자아 일치성이 이 영향에 조절적 효과를 가져 온다는 가정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매체는 컬러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각적 영향이 부각되는 매체로 제한하였으며, 컬러 이외의 시각적 요인은 일관되도록 하였고, 브랜드에 대한 친숙도가 낮은 브랜드, 브랜드에 대한 이전의 지식이 없는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매체 간 컬러의 불일치에 따른 브랜드 태도는 컬러의 일관성에 따른 브랜드 태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소비자의 자아일치가 낮은 경우에 높은 경우보다 태도의 변화가 높게 나타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이 결과는 브랜드의 관리적 요소로서 브랜드 표현, 즉 시각적 요인 중 컬러를 통하여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브랜드 관리자의 직관에 의지하던 브랜드 표현의 일관성과 다양성의 수준이 일반적 의식보다 더 폭넓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고, 이전의 연구에서 성숙브랜드(mature brand)를 리포지셔닝(repositioning)하는 전략으로만 연구되었던 불일치를 신생 브랜드의 인지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그 범위를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