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초등 저학년생의 쓰기 능력 발달에 대한 종단 분석Longitudinal Analysis of Writing Ability Development of Elementary Lower Grader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 Other Titles
- Longitudinal Analysis of Writing Ability Development of Elementary Lower Grader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 Authors
- 이순영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Keywords
- 초등 글쓰기; 쓰기 발달; 설명글; 쓰기 능력; 종단 연구; 잠재성장모형; elementary writing; writing development; expository writing; writing ability; longitudinal study; latent growth model
- Citation
- 리터러시 연구, v.10, no.5, pp 369 - 400
- Pages
- 3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리터러시 연구
- Volume
- 10
- Number
- 5
- Start Page
- 369
- End Page
- 400
- URI
-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70797
- DOI
- 10.37736/kjlr.2019.10.10.5.369
- ISSN
- 2586-7229
- Abstract
- 본고는 초등 저학년생의 쓰기 발달 양상을 종단적으로 분석한 실증 연구이다. 이 연구에는 서울과 전주의 초등학생 349명이 참여하였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총 6학기 동안 학생들이 작성한 설명글을 분석하여 기초 통계치를 추출하고 잠재성장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네 가지이다. 첫째, 초등 저학년의 6학기 동안 학생글의 쓰기 유창성, 표기 정확도, 질 점수는 모두 지속해서 향상되었으며, 특히 2학년 2학기(4학기)의 변화가 가장 컸다. 둘째,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여 선형 모형을 도출하였다. 초등 첫 학기의 쓰기 능력은 4.054점(초기값)이었고, 학기별로 0.718점의 변화량이 예측되었다. 셋째, 초등 첫 학기의 쓰기 능력은 읽기 능력, 읽기 태도, 쓰기 태도, 받아쓰기 능력의 영향을 두루 받으나, 이후 쓰기 능력의 변화에는 읽기 능력만이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다. 넷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능력에서 가장 비중이 큰 요인은 글의 질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ducation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